<p></p><br /><br />지난 10월 기준으로 경찰의 신변보호 대상자는 7588명입니다. <br> <br>범죄, 가정 폭력 피해자 등이 경찰에 보호를 요청한 것인데요. 그런데 이들이 쓸 긴급호출기인 '스마트 워치'가 턱없이 부족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. <br> <br>권솔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지난 10월 서울 등촌동 아파트 주차장에서 전 부인을 살해한 김모 씨. <br> <br>전 부인은 여섯 차례 이사까지 다녔지만, 김 씨의 집요한 추적을 피할 수는 없었습니다. <br> <br>당시 전국적으로 가정폭력 피해자의 신변보호를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정작 신변보호용 '스마트워치' 지급은 수량부족으로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습니다. <br> <br>이렇다 보니 20대 피해 여성도 6개월째 마냥 기다리고 있습니다. <br> <br>[가정폭력 피해자] <br>"순서를 기다려야 한다고 했어요. 내가 이 사람한테 죽을지도 모르겠구나 이런 생각이 드는데. 그냥 어이가 없죠." <br> <br>어머니와 이혼한 아버지가 일터로 찾아와 유리창을 부수며 살해 협박을 하고 있지만 긴급 호출기를 받지 못하고 있는 겁니다. <br><br>스마트워치는 위급상황에서 버튼만 누르면 됩니다. <br> <br>112상황실 등 5곳에 곧바로 위치가 전송되고 경찰관들이 3분 이내로 출동하게 되는 겁니다. <br><br>[가정폭력 피해자] <br>"대한민국이 이 정도밖에 안 되나? 내가 세금 내고 일하고 살고 있는데. 그 시계 얼마나 할까요?" <br> <br>경찰은 현실적으로 어쩔 수 없다는 입장입니다. <br> <br>[경찰 관계자] <br>"저희가 (다른 피해자로부터) 강제로 반납시킬 수는 없거든요. 있는데 억지로 안 주는 게 아니라, 좀 모자란 실정이에요.” <br><br>실제 서울 지역의 경우 스마트워치는 315개에 불과합니다. <br> <br>신변보호 대상자 1천 5백여 명과 비교하면 턱없이 부족합니다. <br><br>스마트워치 구입 예산이 제대로 확보되지 않으면서 가정폭력 피해자들의 안전도 위협받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권솔입니다. <br><br>kwonsol@donga.com <br>영상취재 : 한일웅 김용균 <br>영상편집 : 손진석 <br>그래픽 : 임솔